휴림로봇 2025년 최신 사업보고서 핵심 정리 및 투자 정보
휴림로봇 차트 바로보기
1. 사업보고서 핵심 내용 요약
휴림로봇은 산업용 로봇과 서비스 로봇 사업에 집중하고 있으며, AI 자율주행 기술과 반도체 기반의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.
-
제조업용 로봇, 공정 자동화, 2차전지·물류 AMR(자율이동로봇), 서비스 로봇 ‘TETRA-DSV’ 시리즈를 주력으로 생산
-
신규 자동차 내외장재 사업과 2차전지 장비 사업을 다각화하여 매출처 분산 중
-
2024년 기준 전체 매출 1,331억 원, 영업손실 49억 원으로 적자 지속되나 매출은 성장세 유지
-
자동차 내외장재 부문에서 유일하게 4.8% 영업이익률 기록하며 안정적 수익 창출
2. 최근 분기 실적 수치 (2025년 2분기)
-
매출: 약 34억 원
-
영업손실: 약 12억 원
-
연구개발비와 판매관리비를 중심으로 비용 통제를 강화하고 있음
3. 주요 제품 및 로봇 라인업
-
AMR (자율이동로봇): 공장 및 물류센터용 무인 운반 로봇, ‘TETRA-DSV’ 시리즈 대표
-
서비스 로봇: 연구용·교육용, 키오스크 안내 로봇 등 다양한 서비스 로봇 개발
-
산업용 협동로봇(Cobot): 사람과 안전하게 협력 가능한 다관절 로봇
-
자동차 내외장재: 현대·기아에 납품하는 바닥 카페트 사업
-
2차전지 장비: 충남 천안 공장에서 생산하는 셀 핸들링 및 물류 자동화 장비
4. AI·반도체 적용 사례 및 파트너사
-
AI 자율주행 소프트웨어와 5G 통신기술을 융합한 스마트 로봇 시스템 개발
-
AI 반도체 기술과 엣지 컴퓨팅을 접목해 로봇 운영 효율성과 자율성 강화
-
국내외 AI 및 반도체 기업과 협력 중이며, 특히 자율주행 로봇 분야에서 트위니(TWNI)와 MOU 체결 대표 사례
-
공장 자동화 솔루션 ‘TCS’와 협력하며 물류용 AMR 통합 서비스 개발
5. 향후 12개월 사업 위험요인
-
해외환율 변동성에 따라 매출 60% 이상이 달러와 위안화로 결제, 환율 리스크 존재
-
중국산 저가 로봇과 기술 경쟁 심화 및 수주 변동성
-
전환사채 관련 파생부채 리픽싱 위험과 주가 하락 시 자본 희석 가능성
-
메타버스, 신재생에너지, AI 반도체 등 신규 사업은 아직 매출 발생 전, 투자비 부담 존재
-
단기차입금 증가 및 전환사채 만기 집중으로 유동성 압박 가능성 존재
결론
휴림로봇은 AI와 로봇 기술을 융합해 산업용 및 서비스용 로봇 시장을 공략하며 사업 다각화와 글로벌 확장에 집중하는 기업입니다. 2025년에도 기술 고도화와 제품 라인업 확대를 통해 수익성 개선을 목표로 하지만, 단기적으로 환율 변동과 경쟁 심화, 재무 리스크 관리가 중요합니다.

